이번 장에서는 논리 연산자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장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연산자로는 +, -, *, / 와 같은 것들이 있었죠?
이건 기본적인 연산자들이고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논리 연산자들입니다.
처음 다루게 될 내용은 불리언 값과 연관이 있는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논리 연산자
&& (AND)
-> ~와, AND를 의미하는 논리 연산자
|| (OR)
-> 혹은, OR를 의미하는 논리 연산자
! (NOT)
->아니다, NOT을 의미하는 논리 연산자
이제 각 연산자들을 통해 불리언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ND)의 경우 ~와를 뜻하는 논리 연산자로서
true와 false 값이 전부 하나로 통일 되어야지만 true나 false 값을 표출하는 연산자입니다.
즉, true와 false가 섞여 있게 된다면, 무조건 false 값이 나오는 것이죠!
이해가 잘 안되신다면 밑의 사진을 보고 예시를 들어 얘기해보겠습니다.
true의 값이 나왔을 때만, 출근 준비가 끝난 것이고
false의 값이 나오게 되면, 출근 준비가 끝나지 않은 것입니다.
첫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true 값을 가지는 아침밥먹기와 true 값을 가지는 양치하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true && true이기 때문에 tru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두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불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false 값을 가지는 샤워하기와 false 값을 가지는 가방챙기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false && false 이기 때문에 fals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세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불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true 값을 가지는 아침밥먹기와 false 값을 가지는 샤워하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true && false 이기 때문에 fals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연산자에 대해 최종 정리를 해보자면,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둘 중 하나의 값이라도 False가 존재한다면,
Fasle 값을 반환하고
둘 다 True나 False일 경우에는
True값이나 False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OR)의 경우 혹은, 또는을 뜻하는 연산자로서
true와 false값 중 하나라도 true 값을 가지게 된다면 true 값을 표출하는 연산자입니다.
즉, true와 false가 섞여 있다면, 무조건 true의 값이 나오게 되고
false값만 존재할 때만 false 값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출근 준비 예시를 적용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첫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true값을 가지는 아침밥먹기와 true값을 가지는 양치하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true || true 이기 때문에 tru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두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true값을 가지는 아침밥먹기와 false값을 가지는 샤워하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true || false 이기 때문에 tru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세 번째의 경우, 출근이 가능할까요?
불가능합니다! 왜 그럴까요?
false 값을 가지는 샤워하기와 false값을 가지는 가방챙기기를 || 연산자를 이용해 반환했기 때문입니다.
즉, false || false 이기 때문에 false라는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
|| 연산자에 대해 최종 정리를 해보자면,
||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둘 중 하나의 값이 True라면,
True값을 반환하게 되고,
False값만 존재하는 경우에만
False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NOT)의 경우 아니다를 뜻하는 연산자로서
true와 false의 의미를 부정하는 연산자입니다.
true에 선언을 하게 되면 false의 뜻을 가지고 되는 것이고,
false에 선언을 하게 되면 true의 뜻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아침밥먹기의 값은 true이고 출근하기의 값은 false입니다.
하지만 ! 연산자를 사용한다면 그 값이 뒤바뀌게 되는 것이죠.
! 연산자에 대해 최종 정리를 해보자면,
! 연산자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 변수가 가지고 있던 값의 반대 값을 반환시킵니다.
다양한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봤는데, 조금 이해가 되시나요??
다음 장에서는 또 다른 연산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
그럼 다음 장에서 뵙겠습니다~!~!~! 안녀어엉~!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7장. 조건문 (2) (0) | 2021.03.22 |
---|---|
<javascript> 5장. 비교 연산자 (2) (0) | 2021.02.27 |
<javascript 공부> 4장. 비교 연산자 (1) (0) | 2021.02.26 |
<javascript 공부> 2장. 자료형과 변수 (0) | 2021.02.15 |
<javascript 공부> 1장. Javascript란? (0) | 2021.02.12 |